-
검정 포대기 같은 까마귀 울음소리(청각의 시각화) 고을에 떠나지 않고
밤이면 부엉이 괴괴히 울어
남쪽 먼 포구의 백성의 순탄한 마음에도
상서롭지 못한 세대의 어둔 바람이 불어오던(부정적 상황)
그래도(대비 접속어?) 계절만은 천 년을 다채하여(시대 상황과 대비되는 자연의 모습)
지붕에 박넌출 남풍에 자라고
푸른 하늘엔 석류꽃 피 뱉은 듯 피어(생명력 표현)
나를 잉태한 어머니는 짐짓 어진 생각만을 다듬어 지니셨고
젊은 의원인 아버지는
밤마다 사랑에서 저릉저릉 글 읽으셨다(대구표현)
왕고못댁 제삿날 밤 열나흘 새벽 달빛을 밟고(시간)
유월이가 이고 온 제삿밥을 먹고나서(부정적 상황)
희미한 등잔불 장지 안에
번문욕례 사대주의의 욕된 후예로 세상에 떨어졌나니=나의 탄생
신월같이 슬픈 제 족속의 태반을 보고
내 스스로 고고(아이가 세상에 나오면서 처음 우는 울음소리)의 곡성(사람이 죽어 슬퍼서 크게 우는 소리)을 지른 것이 아니련만->울음소리에서 연상되는 상반된 의미와 연결함
명이나 길라 하여 할머니는 돌메라 이름 지었다오
*과거시제를 사용하여 서사적 사건을 들려주는 형식을 취함(0)
*암울하고 비관적인 정서를 내포한 시어를 사용하여 비극적 상황을 고조함(0)
'국어 > 문학-현대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은교-우리가 물이 되어 (0) 2020.01.28 최두석-성에꽃 (0) 2020.01.14 김춘수-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(0) 2020.01.06 배한봉-우포늪 왁새 (0) 2020.01.06 황지우-겨울 나무로부터 봄 나무에로 (0) 2019.12.09